본문 바로가기

임베디드시스템8

IoT 센서 인터페이스 - I2C, SPI, UART 활용법 IoT 센서 인터페이스 - I2C, SPI, UART 활용법1. IoT 센서와 인터페이스란?IoT(사물인터넷)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작합니다. 이러한 센서들은 온도, 습도, 조도, 가속도, 거리 등 다양한 환경 정보를 측정하며, 이를 처리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나 프로세서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센서와 MCU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센서 인터페이스입니다.IoT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센서 인터페이스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입니다. 각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전송 방식과 속도, 하드웨.. 2025. 3. 9.
ARM Cortex 시리즈 비교 - M, A, R 코어 특성 분석 ARM Cortex 시리즈 비교 - M, A, R 코어 특성 분석개요ARM Cortex 시리즈는 모바일, 임베디드 시스템, 자동차, 서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서 아키텍처입니다. ARM은 특정 CPU를 직접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선스를 제공하여 반도체 제조업체들이 자체 칩을 개발하도록 하는 구조입니다.Cortex 시리즈는 크게 M(Microcontroller), A(Application), R(Real-time) 세 가지 라인업으로 나뉘며, 각각의 코어는 특정 용도에 맞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RM Cortex-M, Cortex-A, Cortex-R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1. ARM Cortex 시리즈 개요ARM Cortex 프로세서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개의.. 2025. 3. 9.
ADC와 DAC - 아날로그와 디지털 변환 기술 ADC와 DAC - 아날로그와 디지털 변환 기술1. ADC와 DAC 개요전자 시스템에서 신호 변환(Conversion)은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고,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이러한 변환 기술은 센서 인터페이스, 오디오 및 영상 처리, 통신 시스템, 의료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ADC와 DAC의 원리, 종류, 활용 사례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2.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 ADC의 필요성아날로그 신호(연속적인 값)는 센서, .. 2025. 3. 7.
리얼타임 클록(RTC)이란 - 개념과 활용 리얼타임 클록(RTC)이란 - 개념과 활용리얼타임 클록(Real-Time Clock, RTC)은 실제 시간(Real Time)을 유지하는 전자 부품으로, 컴퓨터와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RTC는 독립적인 전원(배터리)을 사용하여 시스템이 꺼져 있어도 지속적으로 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RTC의 주요 개념RTC는 일반적으로 저전력 회로로 설계되어 있어, 수년간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됩니다. 대부분의 RTC 칩은 시간, 날짜, 요일, 월, 연도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일부 모델은 알람 기능이나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기도 합니다.RTC의 핵심 요소전원(배터리 백업 기능): RTC는 시스템 전원이 꺼져도 시간을 유지하기 위해 작은 리튬 배터리(일반적으로 CR2032)를 사용합니다.저전력.. 2025. 3. 6.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전력 관리 기법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전력 관리 기법1. 개요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컴퓨팅 시스템으로, 저전력 소비가 핵심 요소입니다.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IoT 센서, 자동차 전자제어 장치(ECU)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임베디드 시스템이 사용되며, 전력 효율 최적화가 성능과 배터리 수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본 글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전력 소비를 줄이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전력 관리 기법을 살펴보고, 최신 저전력 기술 트렌드를 분석하겠습니다.2.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전력 소비 요소임베디드 시스템의 전력 소비는 여러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를 최적화하려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화로운 설계가 필요합니다.✅ 전력 소비의 주요.. 2025. 3. 4.
DSP(Digital Signal Processor)란 - 개념과 활용 사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란? - 개념과 활용 사례1. DSP란 무엇인가?DSP(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는 특수 설계된 마이크로프로세서입니다. 디지털 데이터를 신속하게 변환, 조작, 분석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일반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CPU)와 비교했을 때, DSP는 실시간 신호 처리에 최적화된 아키텍처를 갖추고 있으며, 연산 속도와 전력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특히 고속 연산이 필요한 필터링, 변환, 압축, 복호화 등의 작업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2. DSP의 주요 특징DSP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고속 연산 지원: 곱셈-누적(M.. 2025.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