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ential/하드웨어 설계

ADC와 DAC - 아날로그와 디지털 변환 기술

by 조용한주인장 2025. 3. 7.

ADC와 DAC - 아날로그와 디지털 변환 기술

1. ADC와 DAC 개요

전자 시스템에서 신호 변환(Conversion)은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고,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변환 기술은 센서 인터페이스, 오디오 및 영상 처리, 통신 시스템, 의료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ADC와 DAC의 원리, 종류, 활용 사례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ADC (Analog-to-Digital Converter) –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환

📌 ADC의 필요성

아날로그 신호(연속적인 값)는 센서, 마이크, 전압계 등에서 발생하지만, 컴퓨터나 디지털 시스템은 이를 직접 처리할 수 없습니다. ADC를 사용하면 이러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코드(0과 1의 조합)로 변환할 수 있어, 프로세서나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쉽게 분석 및 처리할 수 있습니다.

✅ ADC의 주요 개념

ADC 변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샘플링(Sampling):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특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이산적인 값으로 변환.
  2. 양자화(Quantization): 측정된 값을 가장 가까운 디지털 값으로 변환.
  3. 인코딩(Encoding): 변환된 디지털 값을 바이너리 코드(2진수)로 변환.

✅ 주요 ADC 방식

ADC 유형 원리 및 특징 응용 사례
직병렬(Flash) ADC 병렬 비교기를 사용하여 빠른 변환 속도를 제공. 고속 데이터 처리(영상, 초음파 등)
연속 근사형(SAR) ADC 이진 탐색 방식으로 하나씩 비교하여 변환. 센서 인터페이스, 계측기
Sigma-Delta ADC 고해상도 변환을 위해 과샘플링 및 필터링 활용. 오디오 처리, 의료용 신호
듀얼 슬로프 ADC 적분 방식으로 정밀한 측정을 지원. 멀티미터, 산업용 계측기

3. DAC (Digital-to-Analog Converter) –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

📌 DAC의 필요성

디지털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0과 1)는 스피커, 모터, 디스플레이 등의 장치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DAC를 사용하면 디지털 데이터를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현실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 DAC의 주요 개념

  1. 디지털 입력 처리: ADC로 변환된 디지털 값을 받아들임.
  2. 신호 복원: 정해진 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연속적인 신호를 생성.
  3. 필터링: 스무딩(smoothing) 필터를 적용하여 이상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

✅ 주요 DAC 방식

DAC 유형 원리 및 특징 응용 사례
저항 사다리형(R-2R) DAC 저항을 이용한 간단한 구조로 속도가 빠름. 오디오 출력, 임베디드 시스템
저항 스트링(String DAC) 여러 개의 저항을 사용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 디지털 볼륨 조절, 간단한 신호 변환
Delta-Sigma DAC 고해상도 출력을 위한 필터 기반 방식. 고급 오디오 장비, 의료 기기
PWM 기반 DAC 펄스 폭 변조(PWM) 신호를 필터링하여 아날로그 변환. 모터 제어, 조명 조절

4. ADC와 DAC의 차이점

항목 ADC (아날로그→디지털) DAC (디지털→아날로그)
입력 신호 아날로그 (연속적인 전압/전류) 디지털 (이진 코드)
출력 신호 디지털 (0과 1) 아날로그 (연속적인 전압)
변환 과정 샘플링, 양자화, 인코딩 디지털 처리 후 아날로그 전압 생성
응용 분야 센서 데이터 수집, 이미지 처리 오디오 출력, 모터 제어

5. ADC와 DAC의 응용 분야

✅ 1) 오디오 및 음악 시스템

  • ADC: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레코딩, 음성 인식).
  • DAC: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헤드폰, 스피커 출력).

✅ 2) 센서 및 계측기

  • ADC: 온도, 압력, 습도 센서에서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분석.
  • DAC: 측정 장비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생성(신호 발생기).

✅ 3) 영상 및 디스플레이

  • ADC: 카메라의 빛 신호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
  • DAC: 디지털 이미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표시.

✅ 4) 통신 시스템

  • ADC: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무선 송신.
  • DAC: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

✅ 5) 의료 장비

  • ADC: 심전도(ECG), 뇌파(EEG) 등 바이오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 DAC: 인공 와우(청각 보조 장치)에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

6. ADC와 DAC 선택 시 고려할 요소

고려 요소 설명
해상도 (Bit 수) 변환 정밀도를 결정 (8-bit, 12-bit, 16-bit, 24-bit 등)
샘플링 속도 (Sampling Rate) ADC에서 초당 샘플링 횟수 (kHz, MHz 단위)
변환 속도 변환 과정의 응답 속도 (ns, µs 단위)
노이즈 및 왜곡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및 잡음
전력 소비 저전력 설계가 필요한 IoT 및 배터리 기반 시스템

7. 결론

ADC와 DAC는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호 간의 다리 역할을 하며, 현대 전자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특히 오디오, 영상, 센서, 통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정확도와 속도, 소비 전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변환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추가로 읽어볼 만한 주제

  • 샘플링 속도와 신호 품질의 관계
  • 고해상도 ADC/DAC의 최신 기술
  • FPGA 기반 ADC/DAC 인터페이스 설계
  • ADC와 DAC의 오류 보정 기법

댓글